첨부해놓은 라이브러리를 아두이노 라이브러리에 잘 보관하고 예제파일을 불러와서~~~~
듣자하니 I2C가 SPI보다 느리다는 소문이 있으나 아직 SPI OLED가 없어서 동작 테스트는 안해봤네요.
혹시라도 추후에 기회가 되면 한번 진행해보겠습니다 :D
I2C 동작시키는 것마냥 동작시키면 잘 동작합니다.
혹시라도 추후에 기회가 되면 한번 진행해보겠습니다 :D
일단 예제 불러와서 아래 빨간색 부분을 "//" 없애주고 업로드하면 잘 동작합니다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| //U8GLIB_SSD1306_128X64 u8g(U8G_I2C_OPT_NONE|U8G_I2C_OPT_DEV_0); // I2C / TWI //U8GLIB_SSD1306_128X64 u8g(U8G_I2C_OPT_DEV_0|U8G_I2C_OPT_NO_ACK|U8G_I2C_OPT_FAST); // Fast I2C / TWI //U8GLIB_SSD1306_128X64 u8g(U8G_I2C_OPT_NO_ACK); // Display which does not send AC //U8GLIB_SSD1306_ADAFRUIT_128X64 u8g(13, 11, 10, 9); // SW SPI Com: SCK = 13, MOSI = 11, CS = 10, A0 = 9 //U8GLIB_SSD1306_ADAFRUIT_128X64 u8g(10, 9); // HW SPI Com: CS = 10, A0 = 9 (Hardware Pins are SCK = 13 and MOSI = 11) //U8GLIB_SSD1306_128X32 u8g(13, 11, 10, 9); // SW SPI Com: SCK = 13, MOSI = 11, CS = 10, A0 = 9 //U8GLIB_SSD1306_128X32 u8g(10, 9); // HW SPI Com: CS = 10, A0 = 9 (Hardware Pins are SCK = 13 and MOSI = 11) U8GLIB_SSD1306_128X32 u8g(U8G_I2C_OPT_NONE); // I2C / TWI //U8GLIB_SSD1306_64X48 u8g(13, 11, 10, 9); // SW SPI Com: SCK = 13, MOSI = 11, CS = 10, A0 = 9 //U8GLIB_SSD1306_64X48 u8g(10, 9); // HW SPI Com: CS = 10, A0 = 9 (Hardware Pins are SCK = 13 and MOSI = 11) //U8GLIB_SSD1306_64X48 u8g(U8G_I2C_OPT_NONE); // I2C / TWI //U8GLIB_SH1106_128X64 u8g(13, 11, 10, 9); // SW SPI Com: SCK = 13, MOSI = 11, CS = 10, A0 = 9 //U8GLIB_SH1106_128X64 u8g(4, 5, 6, 7); // SW SPI Com: SCK = 4, MOSI = 5, CS = 6, A0 = 7 (new blue | cs |
참 쉽죠? 

반응형
'b. 임베디드 > 아두이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두이노] DFPlayerMini mp3모듈 사용(1) (0) | 2018.08.02 |
---|---|
[아두이노] HX711 로드셀을 이용한 무게측정하기 (0) | 2018.08.02 |
[아두이노] #define _DEBUG_ 사용하기 (0) | 2018.08.02 |
[아두이노] String문자를 int형으로 변환하기 (0) | 2018.08.02 |
[아두이노] 소수점 표현하기 (0) | 2018.08.02 |
[아두이노] MP3(NA-MP3A)모듈 사용하기 (시리얼) (3) | 2018.08.02 |
[아두이노] OLED 12864 I2C 동작 (Adafruit 라이브러리) (0) | 2018.08.02 |
[아두이노] MAX30100 맥박, 산소포화도 센서 사용하기 (0) | 2018.08.01 |